바로가기 메뉴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하단메뉴 바로가기

FEEL 전자도서관

 

쥘 호프만 Jules Hoffman

쥘 호프만 [이미지]
TAG
CNRS (국립과학연구센터)
  • 작성 2014-12-02
  • 조회 1,944
  • 출생1941.08.02
  • 국적 프랑스
  • 분야생물학
  • 소속CNRS 국립과학 연구센터
  • 출신대학파리대학 대학원
  • 주요업적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의 발견
  • 수상노벨 생리의학상(2011)
TIP

정보에 오류가 있다면 수정요청 해주세요. 관리자 확인을 거쳐 수정/반영됩니다.

수정요청
인물정보

룩셈부르크 태생의 프랑스 생물학자. 초파리를 이용한 실험을 통하여 선천성 면역 활성화 연구에 기여한 공로로 2011년 노벨상 생리·의학상을 수상하였다.

1941년 전후 시대에 룩셈부르크의 에히터나흐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생물을 가르치던 고등학교 교사였고, 열정적인 곤충학자였다. 여가시간에는 곤충을 채집하고 관찰하였으며 특히 다양한 부류의 동물들에게 관심을 쏟았다. 아버지의 영향을 받아 쥘 호프만은 자연스럽게 곤충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과학 이외의 언어와 역사에도 관심이 많았다.


고등학교를 졸업 후 룩셈브루크를 떠나 프랑스 스트라스부르 대학교에서 생물학을 전공한다. 그곳에서 내분비 조절의 발단과 메뚜기의 번식을 연구하던 피에르 졸리(Pierre Joly)교수의 실험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졸리교수는 그에게 CNRS에서 일할 수 있는 기회를 주었고, 메뚜기의 향균성 방어에 관해 연구하기 시작했다. 수많은 연구원들이 메뚜기 사이 내분기 기관의 이식을 수십년 동안 연구해왔다는 사실이 이 문제를 선택 하게 된 동기가 되었다고 한다. 이 실험이 폐혈증 조건 하에 반복적으로 수행되어 지더라도 미생물의 발달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채집가들에게 알려졌고 메뚜기 기회감염에 반대되는 효과적인 방법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암시하였다. 그 당시에는 사실 아무것도 곤충에 관한 향균성 방어체계가 알려지지 않았다.


1969년에 박사학위 연구동안에 메뚜기 혈구의 발생에 초점을 맞추었고, 심장근처에 있는 충분히 발달된 혈관 형성 조직을 발견하였다. 1973년 쥘 호프만 연구팀이 스트랍스부르에서 생물학적 생화학적 감염 맥락을 분석하기 시작하는 동안 그는 말버그에 있는 피터 캐를손의 연구소로 들어갔다. 졸리교수가 1978년 은퇴하게 되자 쥘 호프만이 소장을 역임하게 되었고, 곤충의 내`외분비관을 두 가지 방법으로 반응하도록 실험하였다. 80년대와 90년대에 걸쳐, CNRS의 자문위원회에 의장을 맡았고, 1994년도에 CNRS 분자 생물학 연구소의 소장으로 지명되었다.


호프만은 인간과 비슷한 선천성 면역계를 가진 초파리를 통하여 면역체계 활성화 연구에서 획기적 업적을 이루었다. 면역은 선천성 면역과 후천성 면역으로 나뉘는데, 선천성 면역계는 병원균이 인체에 침투하였을 때 즉각 인지하고 반응하며, 후천성 면역계는 동일한 병원균이 침투하였을 때 해당 병원균을 기억하고 있다가 더 빠르고 강력하게 반응한다. 호프만은 초파리 연구를 통하여 톨 유사수용체(TLR;Toll-like Receptor)가 미생물 단백질 감지기 역할을 하여 선천성 면역계가 작동하도록 유도한다는 사실을 밝혀냈고, 뒤를 이어 미국의 면역학자 브루스 보이틀러(Bruce Beutler)가 생쥐를 이용하여 TLR(Toll-like Receptor)이 병원균을 직접 인식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 연구는 포유류나 수용기의 역할에 관련한 다른 동물류에 있어서 초기 방어에 대한 국제 이해에도 기여를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면역계 활성 메커니즘이 밝혀짐으로써 면역 질환의 효과적 치료법이 개발되는 성과를 거두었으며, 그 공로를 인정받아 2011년 미국의 보이틀러, 캐나다의 랠프 스타인먼(Ralph Steinman)과 함께 노벨상 생리·의학상을 공동 수상하였다. 이밖에 2003년 윌리엄 콜리 상(William B. Coley Award), 2004년 로베르트 코흐 상(Robert Koch Prize), 2007년 발잔 상(Balzan Prize;브루스 보이틀러와 공동 수상), 2011년 게어드너재단 국제상(Gairdner Foundation International Award)과 쇼 상(Shaw Prize) 그리고 CNRS 금메달 등을 수상하였다.

펼쳐보기접어두기
시상연설

전하, 명예의 노벨 수상자 분들, 그리고 신사 숙녀 여러분

우리는 위험한 세계에 살고있습니다. 여러분께서 지금 이 콘서트 홀에서 보낸 몇 시간 동안 여러분 주위 사람과 수없이 많은 박테리아와 바이러스가 오갔습니다. 다행스럽게도, 여러분은 강력한 방어력을 가지고 있기에 모두 안전합니다.

이 방어력은 박태리아, 바이러스 그리고 다른 미세물질로부터 우리의 면역력을 보호해줍니다. 이 방어체계는 두 개로 나뉠 수 있는데, 첫 번째로는 침략군은 막는 것이고 두 번째로는 그것들을 제거하는 것입니다.

많은 연구가 항체와 살 세포를 갖춘 두 번째 방법에 집중되어져 왔습니다. 하지만, “항체가 생기기전까지 어떻게 우리는 감염으로부터 살아날 수 있을 것인가?”라는 중요한 질문에 대한 해답은 아직 찾지 못했습니다. 항체 수준이 충분해 지고 그런다음 감염된 상처나 감기가 회복되기 전까지는 몇 주 정도 걸릴 것입니다. 초기 면역력이라고 불리는 면역 방어의 첫 번째 방법은 항체가 장소에 도착하기 훨씬 이전에 박테리아를 막고 인식시켰어야 합니다.

쥘 호프만 교수님은 첫 번째 방어의 비밀을 밝혀내기 위해 탐구에 착수하셨습니다. 그분은 곤충에게는 침략군을 제거하는 방어 체계가 미숙하다는 것을 아셨기에 실험 대상으로 초파리를 선택하셨습니다. 톨(Toll)이라 불리는 유전자에 방어체계를 갖춘 초파리가 감염을 성공적으로 이겨내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호프만 교수님과 그의 동료들은 미생물에서 파생된 문자에 의해 활성화된 툴(Toll)을 포함하고 있는 탐지 시스템을 밝혀낼 수 있었습니다. 호프만 교수님의 발견 덕분에 첫 번째 방어 체계 감지기는 마침내 밝혀졌습니다.

브루스 보이틀러(Bruce Beutler)박사님은 또 다른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연구하셨습니다. 그분은 살모넬라균과 같은 박테리아가 어떻게 생명을 위협하는 패혈증이라고도 불리는 패혈성 쇼크를 일으킬 수 있는지에 대해 밝히길 원하셨습니다. 다른 쥐의 종족의 게놈을 비교함으로써, 박사님은 충격 반응을 착수시킨 홀 유전자를 증명할 수 있었을지도 모릅니다. 이 유전자는 툴(Toll)의 포유류 대안인 것으로 나타났고, 세포 표면에 센서를 전달하는 감각기를 밝혔습니다. 박테리아 구성이 감각기에 묶일 때, 면역체계는 활성화 되며, 항체 방어 장체가 동원됩니다.

보이틀러 교수님의 발견 덕분에 우리는 초기 면역시스템의 센서가 감염원을 감지하기 위해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게 되었습니다. 두명의 노벨 수상자분들도 함께 첫 번째 방어 체계가 어떻게 동원되는지 명확히 밝혀 주셨습니다.

이 발견의 동일선상에서, 랄프 스테인먼(Ralph Steinman)교수님은 적응면역계라 불리는 두 번째 방어 체계의 활동을 연구하고 계셨습니다. 30년 넘게, 교수님은 수상돌기세포라 불리는 새로운 세포 유형을 격리시켰습니다.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수상돌기 세포가 병원체를 찾기 위해 몸속 기관을 돌아다니는 것과 면역기억과 항체를 갖춘 두 번째 면역 방어를 동원한다는 것을 밝혀내셨습니다. 수지상세포는 보이틀러 교수님과 호프만 교수님께서 밝혀낸 툴(Toll)감지기에 의해 스스로 활동합니다. 이러한 체계는 면역 방어의 두 종류로 함께 묶여 있습니다.

노벨상을 수상하게 된 이 세 가지 발견은 초기와 적용할 수 있는 면역 시스템을 위한 계기가 되었으며, 우리에게 어떻게 감염에 저항하여 우리를 보호하기 위한 상호 연결된 두 가지 방어 방법을 가르쳐 주었습니다. 오늘, 선천면역의 감지에 대한 지식은 백신과 치료를 개선시키는데 사용되며 수상돌기 세포는 감염과 암을 치료하는데 사용됩니다.

여러분의 연구는 면역 시스템의 문지기를 밝혀냈습니다. 여러분의 발견이 면역학에 있어서 주된 수수깨끼를 해결했을 뿐만 아니라, 그 발견은 전염병, 암 그리고 염증성질환에 대항한 결투에있어 인류에게 새로운 희망을 가져다주었습니다. 카롤린스카 연구소의 노벨 위원회를 대신하여 진심어린 축하를 전해드리고자 합니다.


뷰이틀러, 호프만, 그리고 슈타인만 교수님, 이제 국왕 전화로부터 노벨상을 수상하시기 바랍니다.

펼쳐보기접어두기
자료출처
www.cnrs.fr/.google, wikipedia, naver, Nobelprize.org

인기많은 STORY노벨과학상의 테마스토리도 둘러보세요!

바로가기
메인으로 가기맨위로 가기